[1일차] [9/6] 선행과정 42차 클래스 리뷰 #1

728x90

C1. 왜 경제적 자유를 얻어야 하는가?

행복한 순간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와 불행한 순간을 선택하지 않을 권리를 얻기 위해서 우리는 경제적 자유가 필요합니다.

1)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순간을 많이 채우기 위해서

2) 슬픔과 불행을 느끼는 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 나름의 가치관으로 인생의 목표가 명확하다고 살아왔던

내가 '돈을 벌기 위한' 강의를 듣게 된 것 또한 비슷한 이유여서 굉장히 공감이 되었다.

​결국 시간은 돈으로 치환할 수 있고,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은 유한하기 때문에 경제적 자유는 필요하다.

"돈은 수단일 뿐이지 인생의 전부가 아니다."라는 순진한 이야기는 인생의 전부와 경제적 가치를 비교할 만큼

경제적으로 자유로운 사람이 할 법한 비교다.

만약 그렇지 않은 환경에서 같은 이야기를 한다면, 그저 신포도 일거야 라며 합리화 하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

C2. 왜 창업형 인간이 되어야 하는가?

실험에 성공했을 때 수익이라는 성과가 있을 뿐입니다. 그저 과학 시간 실험하듯이 세상을 두고 끊임없이 실험을 해보세요.

1) 창업형 인간

- 창업은 스스로 자신의 업을 만드는 것이다.

- 창업은 세상에 가설을 세우고 다양한 검증 과정을 반복해서 실험하는 것이다.

=> 창업형 인간은 언제든지 스스로 자신의 업을 만들 수 있고, 세상에 가설을 세우고 검증과정을 반복할 수 있는 사람이다.

=> '미래자산 계산기'를 통해 확인한 내가 은퇴 가능한 나이 86세...

이렇게 된다면 사실 이 때 부터 경제적 자유가 아니라 힘에부쳐 강제로 일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지 않을까...

결론은 이런 환경에 안주하고 머물렀을 때는 경제적 자유는 절대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C3. 창업형 인간이 되기위한 필수 역량1

 

사소한 것에 여러분의 자원을 많이 투자하게 되면 당연히 성장하기 어렵습니다.

반대로 큰 성과와 아웃풋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에 여러분의 자원을 많이 투자하게 되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1) 뇌의 메모리 확장: 망각 시스템으로 인해 기억이 계속해서 삭제되기 때문에 정보, 생각, 의지들 조차 망각된다.

=> '망각 시스템'이라는 개념을 이렇게 접근한 것이 신선했다. 보통 '개념'이나 꼭 외워야하는 시험공부 같은 것을 기억하면서 기억 하기 위해 '필기'해야한다. 라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봤지만, ~~ 내용으로 부업을 해봐야지, 꼭해야지 하는 이런 떠오르는 정보나, 그 의지가 얼마나 절실했는지에 상관없이 의지조차 망각하게된다고한다. 때문에 필기를 생활화하면서 자신의 언어로 재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정체성 이론: 어떤 상황이나 질문에 맞닥뜨렸을 때 자신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어떤 이유로 그렇게 생각하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나는 이런 것이 행복을 느끼는 사람이구나' '나는 ~~~한 사람이구나' 라고 정체성을 가지게된다.

어떻게 생각하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나라는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언어로 글을 써보고 계속해서 이유를 생각해보는 시간을 계속해서 가져야한다.

=> 정체성 이론에서 공감이 되었던 부분은 '회피'이다. 사실 자신을 직면하는 것은 쉽지 않다. 어떤 것들은 반드시 해야해서 그렇게 하지만 꼭 마주하기 싫은 것들이 있다. 성인들은 이를 강제로 할 의무도 없어 그냥 잊어버리면된다. 하지만 계속해서 이런 인생의 중요한 질문을 회피해버리면 정체성을 잃어버린다는 것이다. '회피'가 대단히 병리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그저 해야할 일을 미루고 의미없는 유튜브 영상을 보고 있는 현대인들이 그렇다.

3) 세계관 확장: 모두 각자 다른 세계관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나이'와 비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자신이 가진 한정된 자원(시간, 돈) 내에서 자신에게 발생하는 이슈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 세계관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세계관을 확장 시켜줄 수 있는 성공한 사람이 주변에 있거나, 자기주도적인 행동을 해야한다.

=> 자기주도적인 행동의 예시

https://www.youtube.com/watch?v=wnptzPCZT7E

728x90